반응형
1. 프리츠커상에 대하여
'프리츠커 건축상'은
현존하는 건축 분야에서
가장 큰 권위를 지닌
상 중 하나로 평가받습니다.

'프리츠커 건축상'은
건축예술을 통해 재능과 비전,
책임의 뛰어난 결합을 보여주어
사람들과 건축 환경에 일관적이고
중요한 기여를 한 생존한 건축가에게 수여됩니다.
이상적인 작업을 이루기 위해 들어간
양질의 혁신성과 건축적 사고의 훌륭함이
심사 기준이 됩니다.
수상자는 100,000 미국 달러와
루이스 설리번이 디자인한
청동 메달을 받게 됩니다.
2.역대 프리츠커상 수상자
| 수상 년도 | 이름 (클릭) / 국적 | 설명 | 자세히 알아보기(클릭) | ||
| 1979년 | 필립 존슨 (Philip Johnson) 미국 |
Grass House와 Seagram Building 등으로 유명한 건축가입니다. |
![]() |
||
| 1980년 | 루이스 바라간 (Luis Barragán) 멕시코 |
멕시코의 대표적인 건축가로, 색채와 공간을 중요시하는 작품을 남겼습니다. | ![]() |
||
| 1981년 | 제임스 스털링 (James Stirling) 영국 |
미하엘 립피츠 빌딩과 스태포드 대학교 뮤지엄 등을 디자인한 건축가입니다. | ![]() |
||
| 1982년 | 케빈 로시 (Kevin Roche) 아일랜드/미국 |
미네소타 미술관과 포드 재단 본사 등을 설계한 건축가입니다. |
![]() |
||
| 1983년 | 이오 밍 페이 (Ieoh Ming Pei) 중국/미국 |
루브르 삼각뿔과 JFK 라이브러리 등으로 유명한 건축가입니다. | ![]() |
||
| 1984년 | 리처드 마이어 (Richard Meier) 미국 |
로스 앤젤레스 과학자 협회와 바르셀로나 박물관 등을 디자인한 건축가입니다. | ![]() |
||
| 1985년 | 한스 홀라인 (Hans Hollein) 오스트리아 |
비엔나 하우스와 프랑크푸르트 뮤지엄 등을 건축한 건축가입니다. | ![]() |
||
| 1986년 | 고트프리트 뵘 (Gottfried Böhm) 서독 |
쾰른 시청탑과 네비브루크 성당 등을 디자인한 건축가입니다. |
![]() |
||
| 1987년 | 단게 겐조 (Kenzo Tange) 일본 |
도쿄 도서관과 도쿄 도시계획 등을 건축한 건축가입니다. |
![]() |
||
| 1988년 | 고든 번샤프트 (Gordon Bunshaft) 오스카르 니에메예르 (Oscar Niemeyer) 미국/브라질 |
공동 수상자로, 각각 Lever House와 브라질리아 수도 등을 디자인한 건축가입니다. | ![]() |
||
| 1989년 | 프랭크 게리 (Frank Gehry) 캐나다/미국 |
건축계를 재정의한 상징적인 디자인으로 유명하며,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과 같은 해체주의적 접근 방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| ![]() |
||
| 1990년 | 알도 로시 (Aldo Rossi) 이탈리아 |
이탈리아 모더니즘 건축의 대표적인 인물로, 역사와 기억을 중시하는 건축 철학을 가진 건축가입니다. | ![]() |
||
| 1991년 | 로버트 벤투리 (Robert Venturi) 미국 |
"Less is a bore"라는 말로 유명한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선구자입니다. | ![]() |
||
| 1992년 | 알바루 시자 비에이라 (Álvaro Siza Vieira) 포르투갈 |
간결하고 순수한 형태의 건축물로 잘 알려진 건축가로, 라이트와 그림자의 미학을 중시합니다. | ![]() |
||
| 1993년 | 마키 후미히코 (Fumihiko Maki) 일본 |
현대 일본 건축의 대표적인 인물로, 도시 공간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둔 건축을 합니다. | ![]() |
||
| 1994년 | 크리스티앙 드 포르트장파르크 (Christian de Portzamparc) 프랑스 |
도시의 역동성과 리듬을 건축에 반영하는 것으로 유명한 건축가입니다. | ![]() |
||
| 1995년 | 안도 다다오 (Tadao Ando) 일본 |
콘크리트 사용과 자연광을 활용한 건축으로 잘 알려진, 미니멀리즘 건축의 대가입니다. | ![]() |
||
| 1996년 | 라파엘 모네오 (Rafael Moneo) 스페인 |
역사적 맥락과 현대 건축을 접목시키는 작업으로 유명한 건축가입니다. | ![]() |
||
| 1997년 | 스베레 펜 (Sverre Fehn) 노르웨이 |
자연광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재료와 건축의 방법이 자연 및 지역성에 의존하는 건축을 하는 건축가입니다. | ![]() |
||
| 1998년 | 렌조 피아노 (Renzo Piano) 이탈리아 |
기술과 예술, 그리고 공공성을 결합한 건축으로 유명한 건축가입니다. | ![]() |
||
| 1999년 | 노먼 포스터 (Norman Foster) 영국 |
하이테크 건축 스타일과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건축가입니다. | ![]() |
||
| 2000년 | 렘 콜하스 (Rem Koolhaas) 네덜란드 |
도시 이론과 복잡한 프로그램을 다루는 건축으로 잘 알려진 건축가입니다. | ![]() |
||
| 2001년 | 헤르초크 & 드 뫼롱 (Herzog & de Meuron) 스위스 |
재료의 질감과 세부에 대한 섬세한 접근으로 유명한 건축가 듀오입니다. | ![]() |
||
| 2002년 | 글렌 머컷 (Glenn Murcutt) 오스트레일리아 |
환경에 민감한 지속 가능한 건축을 하는 건축가입니다. |
![]() |
||
| 2003년 | 예른 웃손 (Jørn Utzon) 덴마크 |
시드니 오페라 하우스를 설계한 것으로 유명한 건축가입니다. |
![]() |
||
| 2004년 | 자하 하디드 (Zaha Hadid) 이라크/영국 |
유동적이고 동적인 형태의 건축물로 유명한 건축가입니다. |
![]() |
||
| 2005년 | 톰 메인 (Thom Mayne) 미국 |
혁신적인 디자인과 기술적 도전을 추구하는 건축가입니다. |
![]() |
||
| 2006년 | 파울루 멘데스 다 로샤 (Paulo Mendes da Rocha) 브라질 |
브라질 모더니즘 건축의 대표적인 인물로, 강력한 구조와 형태의 건축을 합니다. | ![]() |
||
| 2007년 | 리처드 로저스 (Richard Rogers) 영국 |
테크노-표현주의 스타일과 컬러풀한 건축물로 잘 알려진 건축가입니다. | ![]() |
||
| 2008년 | 장 누벨 (Jean Nouvel) 프랑스 |
혁신적인 고층 건물과 문화 시설 디자인으로 유명합니다. |
![]() |
||
| 2009년 | 피터 줌터 (Peter Zumthor) 스위스 |
섬세한 디테일과 정교한 재료 사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|
![]() |
||
| 2010년 | 가즈요 세지마 & 류에 니시자와 일본 |
SANAA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, 투명성과 경량 구조의 건축물을 설계합니다. | ![]() |
||
| 2011년 | 에두아르도 소투 드 모라 (Eduardo Souto de Moura) 포르투갈 |
감성적이고 시적인 건축 언어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. |
![]() |
||
| 2012년 | 왕수 (王澍) 중국 |
중국의 전통적인 건축 방식과 현대 건축을 접목시킨 작업으로 주목받습니다. | ![]() |
||
| 2013년 | 도요 이토 (伊東豊雄) 일본 |
유기적인 형태와 기술적 혁신을 결합한 건축물로 유명합니다. |
![]() |
||
| 2014년 | 반 시게루 (坂 茂, Shigeru Ban) 일본 |
종이와 카드보드를 사용한 임시 건축물로 잘 알려져 있으며, 재난 지역에 대한 기여로 높이 평가받습니다. | ![]() |
||
| 2015년 | 프라이 오토 (Frei Paul Otto) 독일 |
경량 구조와 생태 건축을 선도한 건축가입니다. |
![]() |
||
| 2016년 | 알레한드로 아라베나 (Alejandro Gastón Aravena Mori) 칠레 |
사회적 건축과 저비용 주택 프로젝트로 유명합니다. |
![]() |
||
| 2017년 | RCR 아키텍츠 RCR Arquitectes 스페인 |
람온 비야타, 카르멜 피게라스, 라파엘 아르란다로 구성된 팀으로,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디자인을 합니다. | ![]() |
||
| 2018년 | 발크리시나 도시 (Balkrishna Doshi) 인도 |
지속 가능한 건축과 사회적 차원의 건축에 기여했습니다. |
![]() |
||
| 2019년 | 아라타 이소자키 (磯崎 新) 일본 |
다양한 스타일과 복합적인 접근 방식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습니다. | ![]() |
||
| 2020년 | 이본 패럴 & 셸리 맥너마라 아일랜드 |
Grafton Architects의 공동 설립자로, 강력한 형태와 감각적인 재료 사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| ![]() |
||
| 2021년 | 안 라카통 & 장 필리프 바살 프랑스 |
Lacaton & Vassal Architectes를 설립하고, 기존 건축물의 변형과 확장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합니다. | ![]() |
||
| 2022년 | 프란시스 케레 (Diebedo Francis Kere) 부르키나파소/독일 |
지역 사회와 환경에 민감한 지속 가능한 건축을 추구합니다. |
![]() |
||
| 2023년 | 데이비드 치퍼필드 (David Chipperfield) 영국 |
세련된 디자인과 도시적 맥락에 대한 깊은 이해로 인정받습니다. |
![]() |
||
| 2024년 | 리켄 야마모토 (Riken Yamamoto) 일본 |
커뮤니티 건축가로서 다양한 정체성, 경제, 정치, 인프라를 이해하고 이를 '조화’롭게 표현하는 작업으로 주목받습니다. | ![]() |
||
| 2025년 | |||||
| 2026년 | |||||
| 2027년 | |||||

반응형
'건축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“라파엘 모네오의 건축 철학: 지속가능성과 문화적 유산의 교차점” (0) | 2024.05.08 |
|---|---|
| “포잠박:디올의 아시아 최대 규모 스토어: 하우스 오브 디올” (0) | 2024.05.08 |
| “마키 후미히코: 프리츠커상 수상자의 지역 특성과 조화” (0) | 2024.05.07 |
| “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: 알바로 시자의 디자인 철학 탐구” (2) | 2024.05.07 |
| “로버트 벤투리: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복잡성과 대립을 넘어” (2) | 2024.05.06 |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